본문 바로가기

스타트업 용어/그로스 용어

[그로스 용어]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뜻과 사례

반응형

 

안녕하세요 창업지식공유대학생입니다 😊

오늘은 KPI 뜻과 사례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KPI 뜻

KPI는

Key Performance Indicator의 약어로

조직이나 프로젝트의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핵심 성과 지표

를 의미합니다.

 

KPI는 목표 달성 여부

성과 수준을 측정하여

조직의 전략적 목표

추적하고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KPI는 조직이나 프로젝트의

목표와 관련하여 설정되며,

목표 달성을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인 지표로 사용됩니다.

 

KPI의 특징

1. 정량적

KPI는 수치나 숫자로 표현되는 지표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매출액, 이용자 수, 고객 만족도 등

이 KPI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2. 핵심성과

KPI는 조직이나 프로젝트의 핵심 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야 합니다.

이는 조직의 전략적 목표와 맞물려야 함을 의미합니다.

 

3. 측정 가능성

KPI는 실제로 측정 가능해야 하며,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합니다.

 

4. 시간적

KPI는 특정 기간 내에서 측정되어야 하며,

일정한 주기로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성과의 추이를 파악하고

개선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KPI 사례

1. 매출 증가율

매출액의 연도별 증가율로서

조직의 성장과 수익성을 평가합니다.

 

2. 이용자 유지율

이용자들의 재방문 비율이나

이용자 이탈율로서

서비스나 제품의 유지 및 개선을 평가합니다.

 

3. 고객 만족도 점수

고객 조사나 피드백을 통해 수집한

고객 만족도 점수로서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과

고객 경험을 평가합니다.

 

4. 생산성 지표

작업 단위당 생산량, 생산 비용, 작업 시간 등

을 측정하여 생산성을 평가합니다.

 

5. 에러율

제품 불량률이나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오류 비율로서

품질 관리와 프로세스 개선을 평가합니다.

 

KPI의 중요성

저는

사업 두 개를 매각하시고

현재도 사업을 하고 계시는

선배님을 만나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습니다.

제품/서비스의 시장 수요가 없다고 판단하고 포기하는 근거가 있으십니까?

선배님은 이 질문의 대답으로

사업을 하기 전 주요 KPI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지 못하면 포기한다

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이 KPI를 설정하는 것은

감의 영역도 있겠지만,

들어가는 비용, 시간 대비 나오는 매출액

고려하라고 하셨습니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n일, n주, 혹은 n달에

oo지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포기하는 것이죠.

 

구체적으로는

1개월에 고객 20명을 확보하고

(ex 오프라인 매장 사장님의 승인)

유저를 100명 모으고

서비스를 2회 성사시키는 것

정도였습니다.

 

위 사례는

이해가 잘 안 되실 수도 있는데

선배님이 하셨던 사업에

기반한 내용이라 그럴 겁니다.

 


이렇게 해서 KPI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반응형